우리마을탐방[238] 풍기읍 서부2리 인삼시장마을 우리마을탐방[238] 풍기읍 서부2리 인삼시장마을 인삼 거래로 늘 북적이는 풍기역 앞 ‘풍기인삼시장’ 예전에 읍성 넘어에 있다 하여 성둑넘 마을 풍기인삼시장·역앞 인삼시장·유명맛집 수두룩 서부2리 사람들읍면체육대회우승서부2리 전경어버이날 행사(마을회관)풍기읍 서부2리 입.. 책사랑/우리마을 탐방 2020.04.26
우리마을탐방[237] 휴천3동 '윗전단' 우리마을탐방[237] 휴천3동 '윗전단' [탐방일:2019.2.24] 평산신씨 사간공파 427년 세거지 ‘전단(箭丹)’ 임진왜란 때 단양군수 신세인이 활을 쏴 정착한 곳 화살(箭)과 붉(丹)은 천에서 유래한 마을 전단(箭丹) 전단마을 전경전단마을 사람들100년 고택휴천3동 전단 가는 길 영주중 사거리에서 .. 책사랑/우리마을 탐방 2020.04.26
우리마을탐방[236] 단산면 좌석리 ‘연화동(蓮花洞)’ ’우리마을탐방[236] 단산면 좌석리 ‘연화동(蓮花洞)’ [탐방일:2019.2.10] 백두대간 고치령(古峙嶺) 아래 첫 마을 '연화동(蓮花洞)' 연화부수형(蓮花浮水形)에서 유래한 마을 연화동 고요한 산수에 안개와 노을이 고운 연하동(煙霞洞) 연화동 전경100년 고가(최연수家)연화동 가는 길 연화동.. 책사랑/우리마을 탐방 2020.04.26
우리마을탐방[245] 풍기읍 백2리 속계·미안마을 우리마을탐방[245] 풍기읍 백2리 속계·미안마을 [탐방일 2019.1.25] 두 내(川) 사이에 마을 형성, 빨래하기 좋다하여 ‘속계(涑溪)’ 조선 말 김해 김씨 일족이 정착 집성촌 형성 풍기 최초 대규모 비닐하우스 인삼재배 시도 속계마을 전경 미안마을의 봄속계교(涑溪橋)풍기읍 백2리 속계 가.. 책사랑/우리마을 탐방 2020.04.26
우리마을탐방[234] 영주의 진산 철탄산(鐵呑山) 아랫마을 ‘숫골’ 우리마을탐방[234]영주1동 숫골 [탐방일 2019.1.20] 영주의 진산 철탄산(鐵呑山) 아랫마을 ‘숫골’ 삼국 때 군사 주둔지 ‘술골(戌谷)’에서 유래한 '숫골' 제일교회-풍국정미소, 근대역사문화의 거리로 지정 숫골 전경 철탄경로당영주1동 숫골의 입지 제일교회와 풍국정미소 사잇길을 따라 .. 책사랑/우리마을 탐방 2020.04.26
우리마을탐방[233] 안정면 생현1리 ‘봉우골’ 우리마을탐방[233] 안정면 생현1리 ‘봉우골’ [탐방일:2029.1.19] 옛 풍기군 망전산봉수(望前山烽燧) 아랫마을 ‘봉우골’ 조선 때 풍기군 생고개면(生古介面) 생현리( 峴里) ‘안정’은 풍기 별칭에서, ‘생현’은 생고개에서 유래 봉우골 전경황새목백분마을안정면 봉우골 가는 길 안정면.. 책사랑/우리마을 탐방 2020.04.26
우리마을탐방[232] 동구에 용(龍)의 형상을 한 바위가 있어 ‘용바우(龍巖)' 부석면 용암1리 ‘용바우’ 우리마을탐방[232] 동구에 용(龍)의 형상을 한 바위가 있어 ‘용바우(龍巖)’ 전의이씨 예참공파 민도(敏道) 후손 450년 세거지 용바우 전설 “용바우 궁둥이를 우리마을로 돌려라” 용바우 마을전경용바우 사람들새두들마을부석면 용바우 가는 길 부석사로 가.. 책사랑/우리마을 탐방 2020.04.26
우리마을탐방[231]풍기읍 삼가리 달밭골(月田) (2) 소백산 비로봉 아래 첫 동네 ‘달밭골(月田)’(2) 우리마을탐방[231]풍기읍 삼가리 달밭골 2018.12.30 고려 사고지?, 정감록파 정착지, 6.25 피난처 불자 기도처, 나도 자연인, 산촌생활사 박물관 달밭골 전경달밭골 초입 첫집 달밭골에 처음 간 날은 구랍 16일이다. 탐방지원센터 조기용 팀장의 .. 책사랑/우리마을 탐방 2020.03.04
우리마을탐방[230] 풍기읍 삼가리 달밭골 비로봉(毘盧峰) 품에 안긴 오지마을 ‘달밭골’(1) 우리마을탐방[230] 풍기읍 삼가리 달밭골 2018.12.16 달밭골 전경달(達), 지혜, 달풀, 뙈기밭, 월전이 달밭골 유래 1890년경 정감록파 정착, 귀틀집 양철집 그대로 달밭골 사람들풍기읍 삼가리 달밭골 풍기읍에서 동양대 앞을 지나 비로사 방향.. 책사랑/우리마을 탐방 2020.03.04
우리마을탐방[229] 신영주 ‘꽃동산’ 영주의 새역사, 신영주 건설과 ‘꽃동산’ 마을 우리마을탐방[229] 신영주 ‘꽃동산’ 2018.12.10 1961년 영주대수해, 근대도시 발전 계기 1965년 남부초 어린이들이 꽃동산 조성 신영주 전경꽃동산로터리국토건설단 환영식(1962)신영주와 꽃동산 영주 대수해 전(前) 영주시가지는 서천교-영주.. 책사랑/우리마을 탐방 2020.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