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사랑/우리마을 탐방 268

달성서씨 돈암(遯菴) 선생 후손 세거지 ‘장수골(長水谷)’

우리마을탐방[248] 이산면 지동3리 ‘장수골’ [탐방일:2019.5.11] 돈암下-종사랑공(震)파下-지추공(亮)파下-후덕공 후손 이계(伊溪)의 ‘긴 원류(長水)’에 터잡아 장수골(長水谷) 장수골 마을전경 경로당 준공식(2014) 이산면 장수골 가는 길 원당로에서 이산로를 따라 이산면 방향으로 간다. 영주고 앞에서 좌회전하여 원리-흑석고개-이산초-석포교를 건넌다. 석포삼거리에서 봉화방향으로 1.5km쯤 가다보면 장수골 버스승강장이 나온다. 여기서 좌측 농로를 따라 700m가량 들어가면 대형 축사가 보이고 이어 마을이 나타난다. 지난 11일 장수골에 갔다. 이날 마을회관에서 서정권 이장, 서차석 노인회장, 서명호 새마을지도자, 서정학 씨 그리고 여러 마을사람들을 만나 마을의 역사와 전설을 듣고 왔다. 역사..

경북 최고령 장수마을 봉현면 ‘배리들(硯坪)’

우리마을탐방[247] 봉현면 하촌3리 ‘배리들’ [탐방일"2019.5.6] 지형이 ‘벼루’처럼 생겼다하여 벼루들-배리들 욕심 없이 일하고, 칭찬과 배려가 장수 비결 배리들 마을전경 하촌3리 마을회관 절골과 절바우 봉현면 하촌3리 가는 길 풍기 IC 사거리에서 예천방향 히티재를 넘는다. 유전리 꽃피는 광장을 지나 노좌1리-하촌1리-하촌2리를 지나 1km쯤 더 내려가면 ‘꽃피는 마을, 하촌3리’라고 새긴 마을표석이 나타난다. 하촌3리는 영주시 봉현면과 예천군 감천면 경계지역이다. 지난 6일 ‘배리들 마을’에 갔다. 이날 마을회관에서 권중근 이장, 허태수 노인회장, 임성기 총무, 조동원 새마을지도자 그리고 여러 마을사람들을 만나 마을의 역사와 전설을 듣고 왔다. 역사 속의 배리들 마을 봉현면 지역은 원래 옛 ..

예전에 학동을 가르치던 서당이 있어 ‘서당골(書堂谷)’

우리마을탐방[246] 평은면 지곡2리 서당골·삼밭골마을 [탐방일:2019.4.23] 예전에 학동을 가르치던 서당이 있어 ‘서당골(書堂谷)’ 삼밭골 전경 옛 서당학풍 이어받아 각계각급 지도자 배출 덤바우의 전설, 어르신 잘 모시는 효(孝)마을 평은면 지곡2리 가는 길 서당골과 삼밭골이 있는 평은면 지곡2리는 영주시 최남단으로 안동시 북후면·녹전면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영주 적서교차로에서 경북대로를 타고 안동방향으로 향한다. 평은면 오운1리 오동마을을 지나 지곡교차로에서 녹전·지곡2리 방향으로 좌회전하여 700m쯤 올라가면 서당골이 나온다. 마을은 텃골-새장골-삼밭골로 이어진다. 지난달 29일 지곡2리에 갔다. 이날 새장골에 있는 마을회관에서 강대우 이장, 오춘석 노인회장, 김지일 총무, 이우홍 주손 그리..

두 내(川) 사이 마을 형성, 빨래하기 좋다하여 ‘속계(涑溪)’

우리마을탐방[245] 풍기읍 백2리 속계·미안마을 속계마을 전경 조선 말 김해 김씨 일족이 정착 집성촌 형성 풍기 최초 대규모 비닐하우스 인삼재배 시도 미안마을의 봄 속계교(涑溪橋) 풍기읍 백2리 속계 가는 길 풍기읍 십자거리에서 죽령방향으로 향한다. 풍기 119안전센터에서 1km 가량 올라가면 백동교차로가 나온다. 왼쪽으로 가면 백2리 속계마을이고, 오른쪽은 미안마을이다. 신설 중앙선철도 교각 아래로 난 속계교(涑溪橋)를 건너면 솔마을황토펜션이 보이고, 그 뒤로 보이는 마을이 속계이다. 지난달 21일 속계에 갔다. 이날 마을회관에서 이병팔 이장, 임휘원 노인회장, 김광훈 노인회 총무, 장숙자 씨 그리고 여러 마을 사람들을 만나 마을의 역사와 전설을 듣고 왔다. 미안마을 전경 역사 속의 속계마을 진흥왕이..

조선 때 군(郡) 소재지 봉향면 ‘화천리’-근대 ‘중앙통’ 마을

우리마을탐방[244] 하망동 중앙통 마을 [탐방일:2019.4.19] 조선 때 군아(郡衙)가 있는 마을 화천리(禾川) 옛 저잣거리-근세 어물전·나무전-중앙통 마을 중앙통 마을 전경 중앙통(1960년대) 중앙통 마을의 위치 조선 때 영천군(옛 영주) 관아가 영주초 자리에 있었고, 관아 앞에 저잣거리가 있었는데 그 주변에 형성된 마을이 화천리(禾川里)이다. 옛 화천리는 읍치의 중심마을로 현 하망동우체국-봉화통로-장물도가(동창산업)까지 철탄산 남쪽자락 끝에 자리 잡은 마을이다. 지난 19일 중앙초 동편 중부노인정에서 최병열 노인회장, 박승창 전 노인회장, 이영도 사무국장, 이상철 15통장 그리고 여러 어르신들을 만나 옛 화천의 역사와 중앙통의 전설을 듣고 왔다. 역사 속의 봉향면 화천리 영주는 본래 고구려의 ..

예전에 검둥바우가 있어 검둥골이라 불렀던 ‘흑석(黑石)’

우리마을탐방[243] 이산면 석포2리 ‘흑석(黑石)’ 탐방일:2019.4.6 흑석사 아미타불, 금성대군의 명복 빌기 위해 조성 진성이씨-단양우씨-전의이씨 순으로 입향·세거지 흑석마을 전경 이산면 흑석마을 가는 길 시내 원당로에서 철도건널목을 건너 이산면 방향으로 간다. 영주고-용암대-돗밤실을 지나 조그네재를 넘어 100m쯤 내려가면 도로 우측 산중턱에 거북 형상을 한 검은바우가 흑석이다. 여기서 200m가량 더 내려가다 보면 도로 왼쪽에 보이는 마을이 흑석이다. 지난 6일 오전 흑석마을에 갔다. 이날 마을 앞 정자에서 우경달 마을대표, 김재희 할머니, 이상훈 씨, 지봉금 할머니 그리고 여러 마을 어르신들을 만나 마을의 역사와 전설을 듣고 왔다. 역사 속의 흑석마을 영주는 조선조 태종13년(1413) 경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