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433

한절마(大寺洞) 큰절(大寺)이 남긴 보물 ‘석조여래입상’

우리고장 우리마을 숨겨진 보물을 찾아서[21] 한절마(大寺洞) 큰절(大寺)이 남긴 보물 ‘석조여래입상’ 1914년 도리이류조가 촬영한 석조여래입상. [통일신라-1917]. 당시 영주면 가흥리(현 영주교육청) 한절마 앞에 서있던 석불의 모습이다. 1933년 일제 때 촬영. 1917년 영주-예천 간 도로공사로 영주초 앞으로 옮겼다.[1917-1971] 1971년 도시계획으로 가흥리(구 공공도서관)로 옮기면서 보호각을 지어 그 안에 보존하고 있다. [1971-현재] 1915년 영주 가흥리 출토 동제종. 국립대구박물관 소장 동제종 도면. 옆면에 덕산사(德山寺) 명문이 새겨져 있다. 한절마에서 발견되어 영주동으로 갔다가 다시 현 위치로 옮겨 통일신라 당시 영주지역만의 독특한 특징이 잘 나타난 불상 돌에 새긴 신라..

사서(史書) 기록상 영주에서 가장 오래된 보물 ‘죽령(竹嶺)’

우리고장 우리마을 숨겨진 보물을 찾아서[20] 풍기읍 수철리 가장 오래된 보물 ‘죽령’ 위 사진은 1912년(108년전) 죽령 모습이다. 사람이 걸어 다니거나 말이 다닐 수 있는 길 뿐이다. 서기 158년 죽죽이 죽령을 개척한 후 1934년 자동차길이 열릴 때 까지 1800년 동안 옛 모습을 간직한 죽령고갯길의 모습이다.-무명 한복을 입은 보부상이 등짐을 지고 고개를 넘고 있다. 우측 너와집은 희방사역에서 쳐다보는 백룡사의 전신(前身)이다. 1900년경 죽죽의 사당 터에 백룡사가 창건되었다고 전한다. 사진출처, 국립중앙박물관 유리건판 사진자료 현재 죽령 모습(2020). 죽죽을 모신 죽죽사 터(竹竹祠址)에 지금은 장승이 서 있다. 죽령로 길가에 홀로 외로운 ‘퇴계선생 죽령유적비’ 수철리에서 바라 본 죽령..

광승마을 「송상갑(야성인) 고택」 궤짝에서 나온 ‘근대사’

우리고장 우리마을 숨겨진 보물을 찾아서[19] 휴천동 야성송씨 고택 궤짝에서 나온 보물 1881년 광승에서 태어나 강명학교·영흥야학·신간회 활동 주역 1919년 일제가 군 관아를 헐 때 자재모아 성저에 33칸 한옥신축 1934년 공회당을 극장으로 개조-최초 영주극장(현 분수대) 개관 근대사 보물을 간직한 궤짝 광승마을 출신 송재승(75,야성인) 향토사연구가는 영주시민신문 애독자다. 신문을 받으면 먼저 ‘숨겨진 보물을 찾아서’를 본다는 송씨는 ‘우리 집에도 숨겨진 보물이 있을까?’라는 생각을 하다가 어느 날 창고에 숨겨둔 할아버지의 궤짝을 뒤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며칠 뒤 기자에게 문자를 보냈다. 「영주시민신문에 연재되는 ‘숨겨진 보물’에 자극받아 창고에 숨겨 두었던 할아버지의 궤짝을 뒤져서 근대사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