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청소년지원센터 학교지원단 발대식 영주 청소년 문화의 집에서 영주 청소년 지원센터 학교 지원단 발대식이 열렸다. 2010.6.25(금) 16:30 센터 2층 소회의실에서 학교지원단 위원으로 위촉된 초,중,고 학교장과 박의식 부시장을 비롯한 지원센터 관계자들이 자리를 함께했다. 국민의례을 시작으로 위촉장 수여, 박의식 부시장 발대식사에 이.. 영주사랑 이야기/축제·축하 2010.06.25
한국청소년문화연합 기자단 발대식 영주에 청소년단체 중앙 본부가 하나있다. 「보건복지가족부 산하 사단법인 한국청소년문화연합」이란 단체로 건전한 청소년문화 창조를 위해 2009 창립됐다. 2010.6.24(목) 오후 3시 영주남서울회관에서 기자단 발대식이 있었다. 박상오 영주교육장과 초중고 학교장, 녹색연합회장 등 기관 단체장들이 .. 영주사랑 이야기/축제·축하 2010.06.24
영주댐 얼마나 쌓았을까? (1) 4대강 사업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고 한다. 사람들마다 생각이 다르니 다른 의견도 존중해 줘야겠다는 생각도 든다. 어릴적 치산치수를 잘 하는 임금이 명군왕이란 말을 들었다. 지금도 통치자들이 치산치수를 잘 해야 국민을 행복하게 해 줄 수 있다. 40여년 전 경부고속도로를 닦을 때도 .. 영주사랑 이야기/영주의 하천 2010.06.23
제15회 환경의 날 기념식 및 환경기자단 발대식 영주시가 주최하고 월드환경일보가 주관하는 2010 제15회 세계환경의 날 기념식 및 학생 환경지킴이 기자단 발대식이 2010.6.8(화) 영주시민회관 대강당에서 열렸다. 김주영 영주시장, 박상오 영주교육장, 김충영 경상북도학교운영위원장 연합회장 영주시환경단체장, 초등학교장, 도의원, 시의원, 학생, .. 영주사랑 이야기/축제·축하 2010.06.09
취사가의 내력 영주의 불천위가 취사 이여빈 1. 선비의 고장과 취사 이여빈 우리의 선조들은 학문을 대단히 중요시했고 명분과 의리를 존중하면서 살아왔다. 소백의 정기가 서려있는 영주에는 고려 말 성리학을 도입한 대학자 안향이 태어난 고장이며 500여 년 전에 세워진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서원(賜額書院)인 소.. 영주사랑 이야기/문화유산보존회 2010.06.01
두암 고택 답사 우금촌두암고택(友琴村斗巖古宅)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81호 (영주시) 경북 영주시 이산면 신암리 304 소재 두암고택은 영원군수, 해미현감등을 역임한 두암 김우익(1571-1639)선생이 건립한 가옥으로 인동장씨 고택과 함께 선비촌에서 가장 규모가 크며 중심이 되는 가옥이다. 따라서 이에 맞는 고급스.. 영주사랑 이야기/문화유산보존회 2010.05.30
봉수대 답사 2010.5.28(토) 14:00 영주문화유산보존회에서 창팔래산 봉수대 답사에 나섰다. 봉수대란 「봉화를 올리던 둑. 전국에 걸쳐 여러 개가 있었는데, 특히 남산은 각 지방의 경보(警報)를 중앙에 전달하는 국방상 중대한 임무를 전담하는 곳으로 다른 곳과 달리 다섯 개나 있었다.」이다. 영주시내 중심에서 이.. 영주사랑 이야기/문화유산보존회 2010.05.30
창팔래산 봉수대 답사 창팔래산 봉수대:경북 영주시 이산면 두원리 소재 2010.5.28(토) 14:00 영주문화유산보존회에서 창팔래산 봉수대 답사에 나섰다. 봉수대란 「봉화를 올리던 둑. 전국에 걸쳐 여러 개가 있었는데, 특히 남산은 각 지방의 경보(警報)를 중앙에 전달하는 국방상 중대한 임무를 전담하는 곳으로 다른 곳과 달리.. 영주사랑 이야기/문화유산보존회 2010.05.30
[스크랩] 동해의 수호신 신라장군 이사부 [역사스페셜] 1500년 전, 동해를 우리 역사에 품어들이다! 동해안 패권을 잡기위한 7년의 준비기간과 130km가 넘는 원정길. 신라장군 이사부는 해상왕국 우산국을 어떻게 정벌했을까? 1500년 전 울릉도 앞바다에 나타난 신라함대. 신라군 총사령관은 이사부 장군이었다. <동해의 수호신 신라장군 이사부&g.. 영주사랑 이야기/문화유산보존회 2010.05.24
'영주댐' 어디쯤 가고있을까? 1980년대 중후반 평은면 소재 학교에 근무할 당시 송리원댐이 축조된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1987년 쯤 여름 큰 장마로 내성천 소규모 다리 14개가 떠내려가기도 했고 평은들도 물에 잠겼다. 그로부터 20년을 넘고 지나 '영주댐'으로 건설되고 있다. 지금 4대강 공사로 찬반 의견이 '막상막하'라고 한다. 옛.. 영주사랑 이야기/영주의 하천 2010.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