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서원, 기폐지학 소이수지(旣廢之學 紹而修之) 소수(紹修)’의 의미, '기폐지학 소이수지(旣廢之學 紹而修之)'인가? 영주가 선비의 고장이라는 명성을 전국적으로 얻을 수 있었던 것은 영주에 소수서원(紹修書院) 있기 때문일것이다. 소수서원은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이면서 또한 최초의 사액서원으로 널리 알려진 곳이다. 우리나라 .. 영주사랑 이야기/소수서원 2018.04.29
금성대군 단종 복위 의거의 시말(始末) -박찬수- 금성대군 단종 복위 의거의 시말(始末) 박 찬 수 (전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실장·건국대 대우교수) 차 례 ▣ 서언(緖言) 1. 관련 사료(史料)의 검토 1)《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과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2) 영주 지역의 사찬(私撰) 사료 2. 금성대군 반정 의거(義擧) 모의(謀議)의 .. 영주사랑 이야기/문화유산보존회 2018.01.16
소고 탄신 500주년 기념 시비제막 및 학술발표 소고 박승임 선생 탄신 500주년 기념 경북역사인물 학술발표 및 시비(詩碑) 제막 찬란한 학문과 숭고한 유산 남긴 소고 박승임 기념식, 학술발표, 시비제막, ‘생애와 학문’ 발간 소고(嘯皐) 박승임(朴承任) 선생은 1517년 영주동 두서(杜西, 영광중에서 서천교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려서.. 영주사랑 이야기/영주의 역사&인물 2018.01.07
풍기의 역사문화(박석홍) 풍기 종합발전을 위한 중장기 방안 - 문화․역사․경제관점에서 - 박석홍(소수박물관장) □ 여는 말 지방자치제의 도입으로 지역마다 나름대로의 발전과 성장을 거듭해 나오면서 순기능적인 입장에서 상당한 성공을 거두게 되었고, 이에 따라 어느 정도의 지방까지의 제도적 정착.. 영주사랑 이야기/문화유산보존회 2017.12.29
동계구곡에 대하여 동계구곡東溪九曲에 대하여 - 김태환(영주향토사연구소장) 글을 들어가며 동계구곡東溪九曲은 정산貞山 김동진金東鎭(1867∼1952)이 1918년 자신의 거소인 영주시 부석면 도탄리 마을의 동쪽에 위치한 낙하암천洛霞岩川인 동계東溪의 하암霞巖에서 선암仙巖까지의 아홉곳의 바위〔巖臺〕.. 영주사랑 이야기/문화유산보존회 2017.09.17
[한국여성인물사전] 145. 벽화(碧花) 신라왕에게 공물로 바쳐진 국경 지역 美女 벽화(碧花)는 신라의 여성으로, 아버지는 파로(波路)이다. 벽화는 신라 제21대 왕인 소지왕(炤知王·재위 479∼500) 대의 인물이다. ‘삼국사기’에는 파로가 딸 벽화를 소지왕에게 바친 일화가 나온다. 소지왕은 비처왕(毗處王)이라고도 하였는데,.. 영주사랑 이야기/영주의 역사&인물 2017.07.26
제일고 19회, 졸업 50주년 동창회 영주제일고(구 영주농고) 제19회, 졸업 50주년 동창회 식전공연 영주 섹소폰 동호회 옛 스승님께 인사 야, 할아버지가 다됐구나 이름도 아사무사 퇴직 후 농업에 종사하는 친구가 많아 사무국장 정종헌 국민의례 공로패 전달 권원기 회장이 동창회 발전에 헌신한 조훈, 조동옥 전 동창회장.. 영주사랑 이야기/축제·축하 2017.07.22
[스크랩] 풍기 종합발전을 위한 중장기 방안 - 문화․역사․경제관점에서 -/ 박석홍(소수박물관장) 풍기 종합발전을 위한 중장기 방안 - 문화․역사․경제관점에서 - 박석홍(소수박물관장) □ 여는 말 지방자치제의 도입으로 지역마다 나름대로의 발전과 성장을 거듭해 나오면서 순기능적인 입장에서 상당한 성공을 거두게 되었고, 이에 따라 어느 정도의 지방까지의 제도적.. 영주사랑 이야기/영주의 역사&인물 2017.04.03
풍기군의 역사 http://cafe.daum.net/54cheongun/58sL/1521 풍기의 역사 [연혁] ■ 삼국시대 ▶ 고구려의 내기군 및 급벌산군 ▶ 신라의 파사왕이 점령, 신라로 복속;(AD100 무렵) ■ 통일신라시대 ▶ 내기군을 내령군으로 개칭 ▶ 풍기지역에 기목진 설치 ■ 고려시대 ▶ 기목진을 기주로, 급산군을 흥주로 .. 영주사랑 이야기/영주의 역사&인물 2017.03.16
순흥 양대 성황대제(유계발표자료) 2013(癸巳年) 두레골 성황제(城隍祭) Ⅰ. 시작하면서 1. 유계 선생과 두레골 영주의 역사 기록은 취사(炊沙) 이여빈(李汝馪) 선생이 1625년에 편찬한 영주지로 부터 시작되었다고 보며, 근대사의 기록은 유계(幽溪) 송지향(宋志香) 선생이 1967년에 발간한 ‘영주향토지’로부터 출발하였.. 영주사랑 이야기/영주의불천위 2017.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