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사랑/우리마을 탐방

우리마을 탐방[19] 장수면 갈산1리

단산사람 2014. 8. 9. 12:07

효자 이개립이 개척한 마을, 지금은 ‘효’ 시범마을
우리마을탐방[19]장수면 갈산1리
[480호] 2014년 07월 17일 (목) 12:19:01 이원식 기자 lwss0410@hanmail.net

   
▲ 갈산1리 전경

   
▲ 양파 추수 현장
신라의 성곽이 남아있는 곳, 갈산리
국기달기로 제2의 새마을 운동 펼치기도

장수면 갈산1리 가는 길 = 영주시내에서 예천 방향으로 자동차전용도로를 타고 가다가 영주 IC(장수)에서 내리면 장수 네거리가 나온다.

   
▲ 피염정
여기서 감천 방향으로 우회전 해 100여m쯤 가면 우측에 장수석재와 장수쉼터(천궁) 사이로 난 길을 따라 성곡 방향으로 우회전한다. 꼬불꼬불 포장도로를 따라 가다가 갈산2리(파지리, 바위실) 표석을 뒤로하고 오르막길을 오르면 낮은 고개가 보인다. 여기서 8시 방향으로 보이는 덩그런 야산이 옛 신라 때 쌓은 갈산성(높이 238m)이다.

   
▲ 의산서원 전경
고개를 넘으면 장구목 앞을 지나게 되고 야산으로 둘러싸인 아늑한 동네를 만나게 되는데 이 동네가 바로 갈산1리이다. 집들은 산자락 아래에 남향으로 옹기종기 자리잡고 있다.

마을 앞에는 제법 넓은 들이 있어 옛 선비들이 터를 잡고 학문을 논할 만한 곳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곳이 경주이씨가 500여년을 대대로 거주해 온 갈산리 즉 갈미마을이다. 지금 이 마을에는 48가구에 100여명이 살고 있으며 80% 이상이 노인들이다.

   
▲ 성서정

   
▲ 성오당 유물관
집집마다 마당에는 붉은망 양파자루가 담장을 둘리듯 쌓여있고 마을 앞 넓은 들에는 검푸른 빛의 논벼가 바람에 일렁이며 물결을 탄다.

   
▲ 이철호 이장
지난 6일 오전 양파 추수가 한창이던 날 갈산1리를 방문해 이칠호 이장과 권규수(78) 노인회장, 전미애(53)씨, 김귀순(59)씨, 조순덕(75)씨, 이종석(72)씨 등을 만나 마을의 유래와 옛 이야기 듣는 한편 양파농사 이야기, 효 시범마을 이야기도 들었다.

이 마을이장은 ‘근면’ ‘자조’ ‘협동’하는 마을이라고 자랑했다.

갈산이란 어떤 곳인가? = 갈산(葛山)이란 칡 갈(葛)자로 칡이 많은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장수면 갈산은 갈미(葛味)라고도 부른다.

아마도 옛 선비들이 자연을 개척하고 자연에 적응하면서 칡과 친해졌을 것으로 보이며, 그 맛(味)과 향(香)을 즐기면서 시를 쓰고 학문을 논하던 곳이라는 생각이 든다.

   
▲ 권규수 노인회장
동의보감은 칡의 효능을 ‘머리를 맑게 하고 소화를 돕는다’고 했고 현대 의학도 ‘고혈압, 당뇨병 등 성인병 예방에 좋다’고 했으니 선현들의 지혜가 예사롭지 않다.

장수면 갈산리는 조선시대 때 영천군 두전면 지역으로 갈미 또는 갈산, 갈산방이라 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파지동, 반구동 일부를 병합해 갈산리라 하고 영주군 장수면에 병합했다.

갈산리는 동으로 두전리, 서로는 성곡리, 남으로는 예천군 감천면 유리, 북으로는 안정면 여륵리를 접하고 있다.

갈산리 가운데 우뚝 솟은 산은 신라 때 축성한 갈산성으로 아직도 그 흔적이 남아 있다. 용암산과 주마산에서 발원한 우곡천이 갈산리와 화기리를 지나 옥계천에 합류한다.

   
▲ 조순덕 할머니
갈산1리는 장구목, 새마, 석종(돌바람) 등 세 자연부락이 합해 갈산1리라 한다. 장구목은 지형이 흡사 장구의 목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효자 이개립이 개척한 마을 = 갈미마을은 500여년 전 성오당 이개립이 개척한 마을이다.

이개립은 어려서부터 문장에 남다른 재능을 보여 소고 박승임을 비롯한 인근 선생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았다. 어려서 학봉 김성일의 문하에서 공부하면서 과거에 대한 뜻을 버리고, 성현들의 가르침이 담긴 경서의 연구에만 전념했다.

   
▲ 전미애 씨
정유재란(1597년)의 와중에 낙향한 뒤로 강학에 힘쓰며 문인양성에 힘을 기울여 집안에는 늘 제자들의 신발이 가득했다고 한다.

1567년(명종 22) 진사가 된 이개립은 이듬해 부친이 병들자 밤낮을 곁에 모셔두고 하늘에 빌고, 변(便)을 맛보아 증세를 가늠하며 정성을 다해 간호했다.

부친상을 당하자 슬픔에 잠겨 사흘이나 식음(食飮)을 끊었고 무덤 아래 여막(廬幕)을 짓고 3년동안 시묘(侍墓)살이를 했다. 부친상을 마친 뒤에는 홀어머니를 모시고 예천 금당골(琴堂谷)로 이사해 봉양에 정성을 다했다.

1586년(선조 19) 이개립은 탁월한 효행을 이유로 조정의 부름을 받아 재랑(齋郞)에 올랐지만, 홀어머니와 떨어져 지낼 수 없다는 이유로 관직에 나아가지 않았다.

   
▲ 김귀순 씨
이듬해 모친상을 당하자 예전과 같이 정성을 다해 상례를 치뤘다. 갈미마을에는 선오당 후손들의 흔적들이 많이 남아 있다. 이개립의 후손인 이종한(71)씨와 이재호(59)씨는 족보를 내놓고 피염정(避炎亭)과 성서정(城西亭)의 내력을 설명해 주기도 했다.

특히 유형문화재 제329호로 지정된 이개립 문중 소장 문적(장수면 갈산리 877)은 이개립과 그 자손 이휘음 등의 유묵과 동도회첩 등이 보존되고 있다.

희망의 끈을 놓지 않은 갈미의 어머니= 문수면 잔도리에서 열일곱 살에 이곳(갈미)으로 시집 온 김귀임(85) 할머니. 그는 이 땅에서 살아 온 모든 어머니들의 고단한 삶을 대변하는 듯했다.
가마에서 내려 처음 본 초가삼간. ‘어찌 살꼬’ 라는 생각과 함께 가난의 시집살이가 시작됐다.

   
▲ 김귀임 할머니

할머니의 집은 마을에서 제일 높은 곳에 위치해 있다. “마을 가운데 두레박 우물이 하나 있었는데 매일 물을 여다 먹느라고 무척 힘들었다”고 했다. “겨울에는 손이 다 얼어 터져 피가 나는데도 빨래를 한 방티 이고 개울가에 가서 빨래를 했다”고 했다.

비누도 없고 고무장갑도 없던 그 때. 얼음장을 깨고 빨래를 할 때 옹가지에 담아 간 따뜻한 물에 잠시 손을 녹이고 또 빨래를 하곤 했다고 한다. 그러다 6.25 난리가 나서 남편(이충호, 참전유공자)은 전장에 나가고 시부모 모시고 아이들 키우면서 고생스럽게 5년을 살았다.

   
▲ 이종한 씨
당시는 먹을 것이 제일 부족했다. 송구를 벗겨 삶고 두드려 송구죽으로 보릿고개를 넘겼고 콩잎과 팥잎을 뜯어 먹고 살았으니 원숭이 보다 못한 원시적인 삶이었다고 말했다.

옷도 집에서 만들어 입었다. 명을 자아야 옷을 지어 입을 수 있었고 의식주는 자급자족이었다. 이불도 없었다. 작은 이불 하나에 온 식구가 오글오글 잠을 자야만 했다.

모질게도 가난했던 그 시절이었지만 어머니는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아이들을 굶주림에서 살려 냈다. 먼 길 걸어 학교에 보냈고 공부만이 살길이라고 가르쳤다.

김 할머니는 “그 아들딸들이 잘 사는 나라를 만들었다”고 하면서 환하게 웃는다. 이 마을 경주이씨 후손들은 가난했지만 효를 중요시 했다. 선조들의 ‘효’정신을 받들어 지금은 ‘효 시범마을’을 운영하고 있다. 가난했던 옛 이야기, 그게 60년 전 일이다.

   
▲ 박화자 부녀회장
제2의 새마을 운동 펼치는 박화자 부녀회장 = 이 마을 박화자(43) 부녀회장은 올해로 7년차 부녀회장이다.

그는 2012년 경상북도 선정 새마을여인상을 수상해 화제의 주인공이 되기도 했다. 박 회장은 지난 4월 새마을중앙연수원에서 ‘살기좋은 마을 만들기’ 교육을 수료했다.

“살기좋은 마을이란 어떤 마을이냐?” 란 질문에 박 회장은 “제2의 새마을 운동으로 나눔, 배려, 봉사하는 마을”이라고 말했다.

박 회장은 교육을 받으면서 태극기를 원 없이 보고 경례를 하는 동안 ‘마을 전체가 국기를 게양해 나라사랑을 실천하는 마을을 만들어야 겠다’는 결심을 하게 된다.

   
▲ 이삼숙 씨
교육을 마치고 돌아 온 박 회장은 이 안건을 부녀회에 상정해 통과시켰고 세부 계획을 추진 중에 있다고 했다. 회관에 국기 게양대를 새로 세우는 일과 집집마다 국기꽂이를 만들고 국기를 구입하는 일이 진행 중이다.

박 회장은 “누구에게도 도와달라는 요청하지 않았고, 면이나 시에 예산 지원을 요구하지도 않았다”며 “새마을 정신은 우리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라고 했다.

“국기 예산을 어떻게 마련할 계획이냐?”는 질문에 박 회장은 “마을에서 폐비닐을 모아 얻어지는 수익금이 있다. 이 돈으로 ‘경로잔치’나 ‘효도관광’ 등으로 사용했는데 우리마을에서 이 돈으로 국기 게양대도 세우고 국기도 살 계획”이라고 말했다.

   
▲ 이재호 씨
그 말을 들으니 근면, 자조, 협동의 새마을 정신이 생각났다. 8월 15일 광복절 날은 마을 사람들끼리 축제를 연다.

온 마을에 국기를 달고 마을 회관에는 대형 국기를 다는 기념식을 할 계획이라고 하니 ‘태극기 휘날리는 갈미마을’을 상상해 본다.

갈미마을 젊은 어머니들. 나라를 사랑하는 인재를 기르겠다고 하니, 여기에서 나라의 큰 인물들이 많이 탄생하기를 기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