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기자 현장 취재
영주댐 이렇게 축조됐다.
영주댐이 제 모습을 드러내고 수변순환도로 공사가 한창이다.
지난 2009년 12월 영주시 평은면 내성천에 착공한 영주댐은 높이 55.5m,
길이 400m, 총 저수량 1억 8천 1백만 톤 규모로 건설되는 다목적댐이다.
지난 20일 K-water 영주댐건설단 공사 관계자에 따르면 “영주댐은 지난해
(2012) 말 본 댐 축조를 완료했으며 현재 영주댐 건설의 마지막 공정인
표면차수벽(댐 벽면 물 차단) 및 공도교(댐 위를 가로지르는 다리), 발전기계
설비, 취수탑, 주변공원 조성 등 부대공사를 추진해 연말까지 누계 공정율
83%를 달성할 계획”이라며 “2014년 초에는 관광용 엘리베이터 설치와 일부
부속 건물이 건설될 예정이며 내년 8월말 수변순환도로의 완공과 10월말
이주단지가 준공되면 시험 담수를 시작하게 된다”고 했다. 관계자는 또
“2014년 이후에는 댐 하류 공원조성 등 기타 부대공사를 마무리하고 시험
운전 등을 거쳐 댐공사를 준공 것”이라고 말했다.
총사업비 1조 1천 315억 원이 투입된 영주댐은 수몰되는 도로를 대체하는
이설도로 공사와 수몰되는 중앙선철도를 이설하는 공사도 함께 시행해
최근에 추진한 댐 사업 가운데 가장 큰 규모의 사업이다.
영주댐은 기존의 다른 댐과는 달리 자연과 사람이 함께하는 친환경, 친경제,
친스포츠 등의 문화적 가치를 높이고 전기․전자 등 최첨단 공법이 동원된
댐으로 지역사회의 관심과 기대가 크다.
또한 영주댐은 언젠가 닥칠지도 모르는 물 부족 사태에 대비하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관광레저 문화사업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고있다.
2009년 12월 영주댐 건설을 위한 기반조성 공사에서부터 2013년 현재 완공
단계에 이르기까지 과정을 사진으로 소개하면서 시민을 위한 영주댐이 되고
시민과 함께하는 명품댐이 되길 희망한다.
1. 영주댐 조감도
2. 댐 건설을 위한 기반시설(2010.5.21)
3. 임시다리 설치 및 사무실, 기숙시설 마련(2010.6.20)
4. 댐 축조 전 내성천 모습 (2010.8.8)
5. 기초 굴착 작업(2010.12.4)
6. 유수 전환 공사(2010.12.4)
7.임시 물박이 공사 (2011.7.17)
8. 정초식 (2011.9.5)
9. 댐 지하 기초공사 (2011.12.4)
10. 콘크리트 댐 하부공사 (2012.3.11)
11. 본댐 중단부 공사 (2012.6.10)
12. 댐 상단부 공사 (2012.10.28)
13. 본댐 축조 완성 단계 (2012.11.25)
14. 석괴댐 완성 및 조경(2013.5.13)
15. 댐 안쪽 차수벽면 (2013.6.25)
16. 댐 전경, 조감도와 비교하기
좋은 소식 GNπ http://blog.daum.net/lwss0410/
'영주사랑 이야기 > 영주의 하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주댐 수몰마을, 떠나는 마을 사라지는 다리 (0) | 2013.12.29 |
---|---|
영주댐, 영주호 이주단지 기공식 (0) | 2013.12.09 |
'단산저수지 둑높이기사업' 담수식 거행 (0) | 2013.09.12 |
영주댐 사방에서 구경하기 (0) | 2013.06.11 |
죽계구곡의 설경/구경하기 (0) | 2013.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