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25 한국동란에서 휴전까지 연표.
1950 |
|
|
|
6. 25 |
04:00 북한군 38선 전역에서 남침, 6ㆍ25전쟁 발발, 07:00 중앙방송(KBS) 북한남침 제1보도 10:26 무초 주한미대사, 미국무성에 남침사실 보고, 11:00평양방송 선전포고, 임시국무회의 11:35 무초 주한 미대사, 이승만대통령 방문해 대책회의 12:00 북한 야크(YAK)전투기 4대, 통신소 용산일대 등에 기총 사격 13:00 국방부, 남침사실 공식 발표,
이승만 대통령, 장면 주미대사에게 미국 정부에 원조 요청하도록 지시 13:20 에치슨 미 국무장관, 트루먼 대통령에게 보고 14:00 이승만 대통령, 긴급명령 1호 발표 유엔 한위 대책회의(~18:00) 15:00 장면 주미대사, 미 국무부 방문 한국의 지원요청 내용 전달 21:00 유엔 한위, 중앙방송 통해'북한군은 즉각 38선으로 철수하라'고 요구 24:00 유엔 한위, 유엔 사무총장에게 남침사실보고 |
|
6. 26 |
03:00 이승만 대통령, 트루먼에게 전화로 지원요청 04:00 유엔 안보리 '북한은 적대행위의 즉각중지와 38선 북으로 군대를 철수할 것을 촉구한다'는 결의안 채택 유엔 안보리에서 장면 주미대사 성명문 낭독 12:00 미국 트루먼 대통령이 참석한 안전보장회의 개최 |
|
6. 27 |
01:00 비상국무회의 03:00 이승만 대통령, 서울떠남 심야국회, 서울사수결의 05:00 국방수뇌회의 06:00 수도를 서울에서 수원으로 이전한다고 발표 10:00 미국, 두 번째 안전보장회의 12:30 국군, 철수시작 13:00 이승만대통령, 녹음방송 정부 대전으로 이전 美 극동군 전방사령부(ADCOM) 수원도착 |
|
6. 28 |
01:00 북한군 제 4사단 미아리 고개에 출현 02:30 한강 인도교 폭파 02:00 광진교 폭파 04:00 유엔 안보리, 한국에 군사 원조 제공해야 한다는 결의안 채택(~13:45) *오스틴(Austin)미대표 북한에 군사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내용의 결의안 제안 *장면 주미대사, 안보리가 효과적인 조치를 취해 줄 것을 호소 11:30 북한군 서울중심가에 진입, 김일성 서울 해방 방송 육군 본부, 시흥지구 전투사령부 설치, 한강 방어선 구축 |
|
6. 29 |
맥아더 수원 비행장 도착, 한강방어선 시찰 |
|
6. 30 |
3군 총사령관 겸 육군 참모충장에 정일권소장 임명, 미국지상부대 한국전 투입 결정 |
|
7. 1 |
한국전에 최초로 참전한 미국 스미스부대 부산 도착 북한군 한강도하 개시 |
|
7. 2 |
한국공군 F-51 10대 인수 |
|
7. 3 |
육군본부 평택으로 이동 |
|
7. 4 |
김일성, 북한군 최고사령관 취임 |
|
7. 5 |
국군 제1단 창설 스미스부대, 오산 북쪽 죽미령에서 북한군과 최초로 접전 |
|
7. 6 |
미 제24사단, 북한군과 오산부근에서 교전 |
|
7. 7 |
유엔안보리, 미국 책임하 유엔군사령부 창설 결의 미국 징집법 발동, 병력을 30만으로 증강 국군 6사단 7연대, 충북 음성 동막리에서 북한군 15사단 48연대 섬멸(국군 최초의 승리) 오스트레일리아 해ㆍ공군 참전 영국 해ㆍ공군 참전 |
|
7. 8 |
트루먼, 유엔군 총사령관에 맥아더 임명 전라도를 제외한 전국에 비상계엄 선포 |
|
7. 9 |
미 제8군사령부 대구 설치 |
|
7.10 |
미 제25사단 주력, 부산에 상륙 미 제5공군, 한국으로 이동 북한군, 단양ㆍ음성ㆍ제천 진출 |
|
7.13 |
미 제8군사령관 위커 중장, 주한미지상군 작전지휘 개시 미 부산 군수지원사령부 설치 |
|
7.14 |
육군본부, 대구로 이동 이승만, 국군작전지휘권을 유엔군 사령관에게 이양 |
|
7.15 |
국군 제2군단 창설 |
|
7.16 |
정부, 대전에서 대구로 이동 |
|
7.17 |
정부, 부산으로 이전 국군 제17연대, 화령장에서 인민군 제15사단 1개 연대 섬멸 |
|
7.18 |
미 제1기병사단, 포항에 상륙 |
|
7.19 |
뉴질랜드 해군 참전 트루먼 대통령, 의회에 긴급군사비 100억달러 지출 요청 트루먼 대통령, 대한 특별교서 발표(징병제 실시, 예비군 동원, 주방위군 4개사단 현역화) |
|
7.20 |
대전함락 미 제24사단장 윌리엄 F.딘(William F. Dean) 소장실종 미 제24사단, 대전시가전에서 3.5인치 로케트포로 인민군 전차 7대격파 |
|
7.21 |
김일성, 수안보 전선사령부에서 독전명령 정부, 전남북지역까지 비상계엄 확대실시 |
|
7.24 |
북한군, 광주점령(7. 8) |
|
7.27 |
채병덕 소장 전사 (진주하동 지역) 국회, 부산극장에서 개회 |
|
7.28 |
캐나다 공군 참전 |
|
7.29 |
안동전투(~8. 1) 미 제5공군 전방사령부, 대구에 설치 |
|
7.30 |
미 전략폭격대, 3차에 걸쳐 평양ㆍ원산ㆍ함흥 등지의 주요 군사목표를 공격 캐나다 해군 참전 |
|
7.31 |
미 제2사단 9연대, 미국 본토롭부터 최초로 부산도착 맥아더, 대만 방문해 장개석과 회담 |
|
8. 1 |
미 제8군사령부, 전부대에 낙동강 방어선(워커라인)으로의 전면철수를 명령 |
|
8. 2 |
미 해병 제5여단, 부산상륙 |
|
8. 3 |
낙동강 철교 폭파 유엔군,낙동강 방어선 구축 다부동 전투(~8. 22) |
|
8. 7 |
보현산 전투(~9. 4) |
|
8.10 |
국군, 포항지구전투사령부 설치 국군 제3사단, 동해안 흥해 북쪽에서 인민군에게 포위, 고립 안강ㆍ기계 전투(~9. 20) |
|
8.13 |
국군, 낙동강 벙어선 조정(왜관ㆍ다부동ㆍ군위ㆍ보현산ㆍ강구ㆍ) |
|
8.14 |
왜관전투(~30) 제1훈련소 창설 |
|
8.16 |
포항전투(~9. 18) B-29 폭격기 99대, 왜관 근교에 960톤의 융단폭격 실시 카투사제도 시행(미 제7사단에 보충) |
|
8.18 |
포항탈환 유엔안보리에서 오스틴(Austin) 미 대표 북진 주장 |
|
8.20 |
국군 10개사단화 추진 제7사단 재창설 |
|
8.21 |
다부동계곡에서 한국전 최초로 전차전 전개 |
|
8.22 |
국민병 소집 |
|
8.28 |
영국 제27여단 부산 도착 |
|
8.29 |
피난민구호중앙위원회 구성, 수용소 설치 |
|
8.30 |
팔공산 전투(~9. 13) |
|
8.31 |
인민군, 9월 공세로 낙동강까지 진출 미 대한정책 NSC81 수립(38도선 이북으로의 군사작전 전개 법적 근거) |
|
9. 2 |
국군 제2사단, 영천전투(~12) |
|
9. 5 |
국방부ㆍ육군 본부, 대구에서 부산으로 이동 |
|
9. 6 |
해병대, 목포ㆍ군산앞 여러섬 탈환 |
|
9. 10 |
국군 제1사단, 팔공산에서 북한군 격최(~13) |
|
9. 11 |
미 대한정책 NSC81-1 수립 (북한지역가지 군사작전 확대 허용) |
|
9. 12 |
미 제1군단 창설 |
|
9. 15 |
인천상륙작전 |
|
9. 16 |
유엔군, 낙동강 전선에서 총반격 개시 |
|
9. 18 |
김일성, 단계적 철수명령 하달 |
|
9. 19 |
서울 탈환 작전(~28) 필리핀 지상군 도착 |
|
9. 21 |
소련 외상 비신스키, 유엔 총회에서 평화 선언 제안 |
|
9. 23 |
육군 본부 대구로 이동 스웨덴 병원선 도착 |
|
9. 27 |
미 합참, 맥아더에게 '9. 27 훈령'전달 *북한군 격멸을 위해 38선 이북까지 작전지역 확대 |
|
9. 28 |
서울 수복 미 제24사단, 대전 탈환 호주 지상군 도착 이승만 대통령, 38선 이북지역 진격 명령 |
|
9. 29 |
중앙청에서 서울 환도식 거행 미국, 유엔군의 북진계획 승인 |
|
9. 30 |
미 제25사단, 군산탈환 |
|
10. 1 |
맥아더, 방송으로 김일성에 항복 권유 국군 제1군단, 동해안 지역에서 38선 돌파 김일성, 모택동에게 파병 요청 |
|
10. 2 |
유엔군 사령부 북진명령 하달 김일성, 북한군에 저항명령하달 소령외상 비신스키, 한국 휴전안 유엔에 제의 |
|
10. 3 |
주은래,. 중공군 개입 경고 |
|
10. 4 |
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참전 |
|
10. 6 |
국군 제2군단, 중부전선에서 북진 개시 |
|
10. 7 |
유엔 총회, 한국 통일부흥위원단(UNCURK)설치 의결 신유엔 한위(호주ㆍ칠레ㆍ네델란드ㆍ필리핀ㆍ타이ㆍ파키스탄ㆍ터키등 7개국)구성 |
|
10. 8 |
ㅁ; ㅈ[1ㄱ;뱡시딘, 사브잔산ㅇ[사 38선 돌파 유엔 총회, 유엔의 북진 지지 모택동, 동북 변방군을 중공 인민지원군으로 개편, 출동 준비명령하달 중공, 북한과 소련에 인민지원군 편성 및 파경 통보 |
|
10. 9 |
유엔군 사령과, 북한에 무조건 항복 요구하는 최후통첩 발표 |
|
10. 10 |
국군 제1군단, 원산 탈환 중공외교부, 유엔군 38선 돌파에 군사개입도 불사하겠다고 항의 주은래, 스탈린을 방문해 군사원조와 공군지원 요청 |
|
10. 11 |
김일성 항복 거부, 최후항전 명령 하달 |
|
10. 13 |
중공 정치국, 소련 공군의 지원 없이도 참전을 결정 |
|
10. 14 |
모택동, 중공 인민지원군 10월 19일 참전 명령 하달 |
|
10. 15 |
트루먼대통령, 맥아더와 웨이크섬에서 전략 회담 |
|
10. 16 |
중공군 선발대 압록강 도하 국군 제3군단 창설 이북지역에 비상계엄령 선ㄴ포 |
|
10. 17 |
국군 제1군단, 함흥ㆍ흥남 탈환 터키 지상군 도착 |
|
10. 19 |
국군 평양 탈환 중공 인민지원군 주력부대 압록강 도하 |
|
10. 20 |
미 제187공정연대, 평양 북방의 숙천ㆍ순천 공수 낙하 김일성ㆍ팽덕회 회담 |
|
10. 21 |
미 제1군단, 평양에 군정 실시 |
|
10. 23 |
초산 전투(~26) |
|
10. 24 |
유엔군 총공세 개시 맥아더, 미군 전진한계선 철폐 |
|
10. 25 |
중공군, 1차 공세(10월공세) 개시 국군 제1사단이 포로로 잡은 중공군으로부터 중공 한국전 참전확인 |
|
10. 26 |
국군 제6사단 7연대, 압록강변 초산에 도달 중공군 본대(제50군ㆍ제66군) 추가 압록강 도하개시 미 제10군단 원산 상륙 국군 제2군단 중공군 대병력과 충돌 |
|
10. 29 |
미 제7사단 이원 상륙 |
|
10. 30 |
이승만 대통령 평양시찰 및 평양탈환 시민환영대회 |
|
10. 31 |
국군, 선천ㆍ박천 탈환 선천 상공에 중공 미그(MIG)15기 첫 출현 |
|
11. 1 |
미 8군사령부, 전부대에 청천강으로 철수 명령 미 10군단, 장진호 일대 진출(~9) |
|
11. 2 |
유엔군, 청천강 이남으로 후퇴 미 전투기, 선천 상공에서 YAK기 및 미그기 21대 격추 |
|
11. 3 |
미 제8군, 청천강 방어선 전투(~6) 국군 제7사단, 비호산에서 중공군 1개 사단 격퇴 |
|
11. 4 |
|
|
11. 6 |
맥아더 , 중공군 개입에 대한 비난 성명 발표 맥아더, 압록강 철교 폭파 명령 국군 제6사단 제 7연대, 초산에서 개천으로 철수 완료 |
|
11. 6 |
캐나다ㆍ태국 지상군 도착 |
|
11. 8 |
미 공군 B29 폭격기 편대, 신의주 부근 압록강교 최초로 폭격 신의주 상공서 미국 F86 전투기와 소련군 미그15전투기가 사상 처음으로 제트기 공중전 |
|
11. 8 |
수도사단, 인민군과 어란천 전투 개시 |
|
11. 16 |
트루먼, 중공 영토 존중을 공약 |
|
11. 20 |
인도 야전병원 부대도착 |
|
11. 21 |
미 제7사단 제17연대, 두만강변 혜산진 도달 |
|
11. 22 |
이승만 대통령 함흥 시찰 |
|
11. 23 |
국무총리에 장면 임명 네델란드 지상군 도착 |
|
11. 24 |
맥아더 사령관, 전쟁종결을 위한 총공세(크리스마스 작전)명령 |
|
11. 25 |
수도사단은 청진, 제3사단은 백암점령 중공군의 제2차 공세(11월공세) 미 제8군 청천강 철수개시 그리스 공군 참전 |
|
11. 26 |
미 제2사단, 구장동에서 중공군과 혼전 |
|
11. 27 |
국군 제2군단, 주저항선 붕괴 미제1해병사단, 장진호 전투 |
|
11. 28 |
유엔군 사령부 긴급 작전회의 개최, 평양ㆍ함흥ㆍ원산철수 결정 터키 여단, 참전후 외원에서 중공군과 최초 전투 미 제2사단, 군우리 전투개시 |
|
11. 29 |
국군 제3사단 제26연대 혜산진 진출 프랑스 지상군 도착 |
|
11. 30 |
트루먼, 한국전에 원폭 사용 가능성 시사 |
|
12. 1 |
유엔군 사령부, 유엔군의 전면 후퇴를 결정 미 제8군, 숙천ㆍ성천ㆍ방어선 형성 |
|
12. 2 |
유엔군, 평양 철수 |
|
12. 3 |
국군과 유엔군, 38선으로 철수작전 개시 |
|
12. 5 |
중공군 평양 진입 |
|
12. 6 |
콜린스 미 육군 참모총장 방한, 한국전선 시찰 |
|
12. 7 |
정부, 전국에 비상계엄령 선포 |
|
12. 8 |
이승만대통령. 미국에 한국군 50만 병력 무장 요구 유엔군 원산서 철수 완료 |
|
12. 9 |
그리스 지상군 도착 |
|
12. 11 |
이승만 대통령, 서울사수 언명 미 제1해병사단, 장진호 철수작전 완료 |
|
12. 14 |
유엔 총회, 13개국 한국 정전안 가결하고 정전3인위 설치안 채택 |
|
12. 15 |
미 제8군, 38선 일대에 신방어선 구축 개시 |
|
12. 16 |
흥남 철수작전(~24) 미국, 대중공 전면 금수령 발표 |
|
12. 19 |
팽덕회, 신정공세 준비명령 하달 |
|
12. 21 |
국민방위군 설치령 공포 |
|
12. 23 |
워커 미 제8군 사령관, 전선시찰중 의정부서 차량사고로 순직 |
|
12. 24 |
북한군ㆍ중공군, 38선을 돌파 정부, 수도권 일원에 피난령 포고 국군ㆍ유엔군 및 피난민 흥남에서 철수 |
|
12. 25 |
국군 제3사단, 홍천부근에서 북한군과 공방전 |
|
12. 26 |
미 제8군 사령관 후임에 리지웨이 중장 부임 |
|
12. 31 |
중공군, 제3차 공세(신정공세) 개시 맥아더, 합참에 대중공 확전 건의 뉴질랜드 지상군 도착 |
1951 |
|
|
|
1. 2 |
국군 제1ㆍ6사단 한강 이남으로 철수 |
|
1. 4 |
유엔군 서울 철수(1ㆍ4후퇴) 정우, 부산으로 이전 |
|
1. 5 |
중공군 서울 진입 |
|
1. 6 |
국군 제1사단, 안양부근에서 중공군과 교전 서부전선의 미 제1ㆍ제9군단, 평택ㆍ장호원 점령 미 제2사단 원주 쟁탈전 |
|
1. 7 |
국군과 유엔군, 충주ㆍ삼척에서 공산군 저지 |
|
1. 8 |
중공군, 신정공세 종료 |
|
1. 9 |
유재흥 소장 제3군단장 부임 |
|
1. 10 |
국군 제2군단 해체 |
|
1. 13 |
미국, 한국에 병력 5만 증파 결정 헌병 사령관에 최경록 준장 임명 |
|
1. 14 |
유엔군, 북위37도선 중서부 전선서 30만 중공군과 대치 |
|
1. 17 |
중공, 휴전 5개원칙 거부 |
|
1. 19 |
미하원, 중공비난 결의안 가결 |
|
1. 22 |
국군, 전면공격 개시 |
|
1. 23 |
미 공군 F-84기 33대, 신의주 상공에서 MIG기 30대와 공중전 |
|
1. 24 |
유엔 총회 정치위원회에서 아시아 아프리카 12개국, 신한국휴전안 제의 |
|
1. 30 |
국군, 북한군 제2군단 격멸작전 종료 |
|
1. 31 |
벨기에ㆍ룩셈부르크 지산군 도착 |
|
2. 1 |
유엔 총회, 중공을 침략자로 규정 |
|
2. 5 |
이승만 대통령, 북진중지설 반발 |
|
2. 7 |
수도사단, 강릉 및 대관령 수복 |
|
2. 10 |
국군 제1사단, 한강변으로 진출 |
|
2. 11 |
서울 재수복 거창 양민학살사건 발생 중공군 제4차 공세(2월 공세) |
|
3. 14 |
국군 제1사단, 서울 재탈환 육군 제1훈련소 창설 |
|
3. 17 |
김일성, 최후까지 싸우겠다고 스칼린에 서한 |
|
3. 19 |
유엔군, 전 전선에서 진격 공산군 총퇴각 |
|
3. 23 |
맥아더, 중국 본토공격을 시사하고 중공군 최고사령관에게 전쟁 종결협상을 제의 |
|
3. 24 |
맥아더, 38선 이북 진격명령, 중공 격멸 결의 표명 이승만 대통령, 한ㆍ만국경까지 진격할 것이며 그전에는 정전불가라고 담화 |
|
3. 28 |
제1군단장 김백일 소장, 비행기 사고로 순직 |
|
3. 29 |
국회, 국민방위군 의혹사건 폭로 |
|
4. 11 |
유엔군 사령과 경질, 맥아도 원수 퇴임하고 리지웨이 대장 취임 |
|
4. 14 |
미 제8군 사령관으로 밴플리트 중장 부임 |
|
4. 17 |
거제도포로수용소 포로들, 강제송환반대 탄원서 국회의장에 제출 |
|
4. 22 |
중공군, 4월 공세(~28) 국군 제5사단, 인제 전투(~30) 국군 제6사단,. 사창리 전투(~24) 벨기에대대, 금굴산 전투 영군 제29여단, 설마리 전투 터키여단, 장승천 전투 |
|
4. 23 |
영군 제27여단, 가평전투 |
|
4. 28 |
휴전회담 본회의 재개, 중립국 감시단 구성합의 |
|
5. 7 |
신성모 국방장관 해임, 이기붕 국방장관 취임 에티오피아 지상군 도착 |
|
5. 8 |
국회 정ㆍ부의장 선출(의장 신익희, 부의장 김동성,조봉암) |
|
5. 15 |
제2대 부통령에 김성수 선출 |
|
5. 16 |
중공군, 5월 공세(~23) 미 제2사단 번커고지 전투(~19) 트루먼, 대한정책'한국전을 협상으로 종결시킨다'는 원칙 확정 |
|
5. 18 |
유엔총회, 대 중공 전략물자수출금지 결의(유엔 최초의 경제제재) 국군 제6사단, 용문산 전투(~21) |
|
5. 21 |
국군 및 유엔군, 전면 반격 개시 |
|
5. 23 |
국군 제1군단, 대관령 확보 |
|
5. 26 |
정부, 통일 없는 휴전협정 반대성명 |
|
6. 3 |
수도사단, 향로봉 전투 |
|
6. 9 |
이승만 대통령, 38선 정전 필사 반대 선언 |
|
6. 10 |
정부, 부산에서 휴전반대 궐기대회 |
|
6. 11 |
철의 삼각지(철원ㆍ김화ㆍ평강)탈환 |
|
6. 13 |
북한ㆍ중국ㆍ소련, 모스크바에서 전략회담, 38선 휴전 전략에 합의 |
|
6. 25 |
콜롬비아 지상군 도착 |
|
6. 22 |
노르웨이 의료지원부대 도착 |
|
6. 23 |
소련 유엔대표 말리크, 38선 정전회담 제의 이종찬 소장 육군 참모총장 취임 |
|
6. 27 |
참전 16개국, 말리크 제의를 공동 수락 |
|
6. 28 |
이승만 대통령, '휴전보다 죽음을 원한다'는 결의 표명 |
|
6. 30 |
리지웨이 유엔군 사령관, 공산군에 휴전회담 제의 |
|
7. 1 |
김일성과 팽덕회, 유엔측 휴전제의 동의 |
|
7. 2 |
국회, 휴전반대 결의 |
|
7. 10 |
휴전회담 본회의 개막(개성) |
|
8. 26 |
휴전회담 의사일정 5개항목(의제선택, 비무장지대와 군사분계선, 휴전감시방법 및 기구의 구성, 포로교환, 쌍방정부에 대한 권고안)합의 맥아더, 한국정전협상을 통렬히 비난 |
|
8. 1 |
공군, 제1전투비행단 창설 유엔군, 전선정리를 위해 제한공격 실시 |
|
8. 3 |
국군 제8사단, 노천평 전투(~24) 향로봉 전투(~24) 피의 능선전투(~9. 7) |
|
8. 22 |
공산측, 유엔기의 중립지대 침범사건 날조 및 회담 서부 |
|
8. 23 |
수도사단, 924고지 점령 |
|
8. 25 |
유엔군, 김화ㆍ금성지역 목표고지 재탈환 |
|
8. 27 |
제11사단, 884고지 점령 |
|
9. 30 |
미 제1해병사, 펀치볼 전투(~9. 20) |
|
9. 2 |
미 제2사단 피의능선 점령제5사단, 가칠봉 전투(~10. 14) |
|
9. 4 |
리지웨이 유엔군 사령관, 한국전에 소령군이 참전했다고 발표 |
|
9. 6 |
여군 창설 |
|
9. 10 |
유엔군 추계공세, 피의능선ㆍ단장의 능선ㆍ김화지구 격전 |
|
9. 18 |
유엔군, 격전끝에 단장의 능선 중요고지 점령 |
|
9. 20 |
이승만대통령, 휴전수락4대원칙 제시 (중공군 철수, 북한 무장해제, 유엔감시하 총선거 등) |
|
9. 26 |
유엔 공군 101대, 미그기155대와 공중전, 한국전최대 공중전, 제7사단백석산 탈환 |
|
10. 1 |
미 합참의장 브레들리 한국군 전선 시찰 |
|
10. 8 |
양구 북방 김일성고지 격전 |
|
10. 10 |
휴전회담 재개를 위해 판문점에서 연락장교회담 개최 |
|
10. 15 |
미 제2사단, 단장의 능선 확보 |
|
10. 17 |
국무회의, 대통령 직선ㆍ양원제 개헌안 의결 |
|
10. 18 |
제2사단, 금성ㆍ서남지구점령 |
|
10. 19 |
수도사단 월비산 탈취, 남간 완전확보 및 고성 남쪽까지 진출 |
|
10. 21 |
제6사단, 교암전 점령 모택동 고지 전투(~11. 2) |
|
10. 25 |
판문점에서 휴전회담 재개, 공산측 38선 대신 접촉선을 군사분계선으로 수용 국군 제7사단, 크리스마스 고지 전투(~1952. 2. 11) |
|
11. 6 |
국무총리 서리에 허정 임명 |
|
11. 12 |
유엔군 사령부, 미 제8군에게 공격 작전 중지하고 적극 방어 태세로 전환할 것을 명령 |
|
11. 16 |
이탈리아 의료지원부대 도착 |
|
11. 17 |
제6사단, 949고지 점령 |
|
11. 19 |
자유당 창당(총재 이승만) |
|
11. 27 |
휴전회담, 양측 30일간의 유예기간을 설정한 군사분계선 확정 합의 |
|
12. 1 |
부산ㆍ대구를 제외한 전지역에 비상계엄령 선포 |
|
12. 2 |
호남지구 공비토벌작전 개시(~1952. 3. 12) |
|
12. 11 |
포로교환 협상 착수 |
|
12. 18 |
판문점 휴전회담에서 포로명단 교환 (유엔군 포로 한국군7,142명, 미군3198명 기타1216명, 공산군 포로 북한군11만1754명, 중공군 2만720명) |
1952 |
|
|
|
1. 5 |
북한 유엔 가입 재신청 |
|
1. 10 |
전국에 방공비상사태 선포 |
|
1. 14 |
북한, 국제 적십자대표 입국 거부 |
|
1. 16 |
국회, 포고석방건의안 가결 |
|
1. 18 |
이승만 대통령, 평화선 선언 |
|
1. 20 |
4년제 육군 사관학교 개교 |
|
1. 30 |
공군 F-51전폭기 인수 이승만 대통령, 철원ㆍ김화ㆍ화천ㆍ양구등 일선지구 시찰 |
|
2. 6 |
휴전회담서 북측 대표, 휴전 성립후 3개월 이내 고위정치회의 개최를 제의 |
|
2. 17 |
유엔군, 북측 대표제의를 조건부 동의 |
|
2. 18 |
거제도 포로수용소 폭동(60명 사살, 미군 1명사망) |
|
2. 25 |
유엔 전투폭격기 307대, 정주ㆍ신안주간 도로 폭격 |
|
3. 29 |
국방부장관 경질, 신태영 임명 |
|
4. 5 |
국군 제2군단 재창설 |
|
4. 10 |
허정 국무총리 사임 |
|
4. 17 |
국회, 내각책임제 제3차 개헌안 제출 |
|
4. 24 |
국무총리 서리에 이윤영 임명 |
|
4. 28 |
유엔군 사령관 리지웨이NATO사령관으로 전보, 후임에 클라크 미 육군대장 임명 |
|
5. 4 |
육군 제2훈련소 논산에 설치 |
|
5. 6 |
국회, 장택상 국무총리 인준 |
|
5. 7 |
거제도포로수용소 공산포로 폭동, 도드(Dodd)소장을 3일간 감금 |
|
5. 14 |
정부, 제4차 개헌안(대통령 직선 및 양원제)제출 및 공고 |
|
5. 23 |
부산 정치파동 휴전회담 유엔군 수석대표,. 조이 제독을 해리슨 소장으로 교체 유엔 공군, 평양ㆍ진남포 군수공업지대 대규모 폭격 |
|
5. 25 |
부산을 비롯한 경남 전남북 23개 시군에 비상계엄 선포 |
|
5. 26 |
정부, 대통령직선제개헌 강행으로 정치파동, 국회의원 10명 구속 휴전회담 한국측 대표 이한림 준장으로 교체 |
|
5. 29 |
김성수 부통령, 이승만대통령 비난하고 사표 제출 |
|
6. 5 |
터키군 부사령관 무리 파밀 대령, 전선시찰중 전사 |
|
6. 6 |
미 제2사단, 불모고지 전투(~8. 1) |
|
6. 10 |
거제도 포로수용소 폭동격화, 포로 160명 미군 16명 사망 |
|
6. 21 |
휴전회담, 유엔군측 포로 강제소환 강력히 반대 |
|
6. 23 |
유엔군, 수풍발전소 폭격 |
|
6. 25 |
이승만대통령 암살미수사건 발생 |
|
7. 4 |
국회, 야간회의에서 발췌개헌안 총과 |
|
7. 7 |
수도사단, 수도고지ㆍ지형능선 전투(~10. 14) |
|
7. 10 |
국회 정ㆍ부의장 선거(의장 신익회, 부의장 조봉암ㆍ윤치영) 제5사단, 351고지 전투(~11. 10) |
|
7. 11 |
유엔군 평양 대공습 |
|
7. 19 |
한강철교 복구 개통 |
|
7. 23 |
육군 참모총장에 백선엽 중장 임명 |
|
8. 5 |
직선제 정ㆍ부통령 선거(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함태영 당선) |
|
8. 9 |
판문점 동쪽 벙커고지와 시베리아고지 공방전 치열 |
|
8. 11 |
거제도 포로수용소 폭동, 부상 38명 |
|
8. 12 |
영국 스코틀랜드 부대 이한 |
|
8. 14 |
클라크 사령관, 대구육군 본부 방문 |
|
9. 1 |
징병제 실시 |
|
9. 9 |
수도고지서 백병전 |
|
9. 21 |
제8사단, 812ㆍ854고지 전투(~22) |
|
9. 27 |
공산군 공격저지와 유엔군 보급선 확보위해 해상방위 지역(클라크라인)설정 발표 |
|
9. 30 |
장택상 국무총리 사임 |
|
10. 1 |
제주도 포로수용소 폭동(45명사망, 120명 부상) |
|
10. 6 |
공산군, 추계 공세 |
|
10. 8 |
제9사단 백마고지 전투(~15) |
|
10. 14 |
국군 제2사단ㆍ미제 7사단, 저격능선 및 삼각고지 전투(~12. 4) |
|
10. 21 |
제1차 징집 실시 |
|
10. 25 |
부산에서 학생들 휴전반대 운동 |
|
11. 4 |
미국 아이젠하워 대통령 당선 |
|
11. 8 |
국군 제12ㆍ15사단 창설 |
|
11. 25 |
신임 주한 미 대사 브릭스 임명 |
|
12. 2 |
미국 대통령 당선자 아이젠하워 내한(~5) |
|
12. 3 |
포로처리에 관한 인도 제안, 유엔 총회에서 가결 |
|
12. 11 |
제 1사단, 임진강 부근 전투(Nori및Betty고지전투)(~13) |
|
12. 13 |
국제 적십자사, 휴전과 포로 교환 촉구 결의 |
|
12. 14 |
한ㆍ미 경제협정 체결 봉광도 포로수용소 폭동(82명 피살, 120명 부상) |
|
12. 17 |
북한, 유엔 포로교환안 거부 |
1953 |
|
|
|
1. 3 |
중부전선 대격전 |
|
1. 6 |
이승만대통령 방일, 요시다 수상과 회담, 국교재개 용의 성명 |
|
1. 20 |
미 아이젠하워 대통령 취임 |
|
1. 23 |
미 제8군 사령관 밴플리트 대장 예편, 후임에 테일러 중장 부임 |
|
1. 26 |
콜린스 미 육군 참모총장 내한 |
|
2. 22 |
유엔군 사령관, 부상포로 교환 제의 |
|
3. 5 |
스탈린 사망 |
|
3. 7 |
용초도 포로수용소 촉동, 23명 사살 42명 부상 |
|
3. 12 |
이승만대통령, 한ㆍ맘 국경까지 진격 요구 |
|
3. 22 |
헌병 총사령부 설치, 초대 사령관 원용덕 소장 |
|
3. 25 |
니 제7사단, 불모고지 상실 |
|
3. 26 |
미 해병 제1사단, 베가스 고지 방어(~30) |
|
3. 28 |
공산군 사령관, 부상포로 교환제의 수락 |
|
3. 29 |
휴전회담 재개 |
|
3. 30 |
주은래, 송환 원치 않는 포로 중립국 이송제안 |
|
3. 31 |
유엔군 사령관, 휴전회담 본회담 재개 제의 |
|
4. 11 |
이승만대통령, 휴전반대 단독북진 성명 |
|
4. 20 |
판문점에서 부상포로 교환(~5. 3, 송환6620명, 귀환683명) |
|
4. 21 |
국회 북진 통일 결의 |
|
4. 24 |
국회, 국무총리에 백두진 인준 |
|
5. 1 |
제3군단 창설 |
|
5. 8 |
이승만대통령, 미국 정부에 휴전 반대 통보 |
|
5. 25 |
클라크, 포로송환 최종안 이승만 대통령에 설명 유엔군측, 포로송환 최종안 제의 |
|
5. 29 |
영연방 제1사단, 후크고지 방어 |
|
6. 1 |
제12사단, 812ㆍ854고지 전투(~9) |
|
6. 8 |
휴전회담 본회의, 포로교환협정 조인 |
|
6. 10 |
중공군 최후공세(6월공세) 개시 M-1고지 전투(~23) |
|
6. 14 |
제 20사단, 1090고지 방어(~18) |
|
6. 18 |
이승만대통령, 전국에서 반공포로 2만7312명 석방 |
|
6. 19 |
유엔군 사령부, 서해 5도 주민 10만명 철수령 |
|
6. 25 |
로버트슨 미 대통령 측사 휴전설득위해 내한, 이승만 대통령과 14차례 회담(~7. 11) |
|
6. 28 |
국방부 장관에 손원일 해군중장 임명 |
|
7. 6 |
미 제7사단, 폭찹고지 상실(~10) |
|
7. 13 |
약 7만의 공산군, 중동부전선 김화에서 대공세 금성전투(~20) |
|
7. 14 |
국군 제2군단, 금성천 확보 |
|
7. 17 |
공산군측, 휴전체결을 수락 |
|
7. 27 |
휴전협정 정식 조인, 오후10시 전 전선에서 전투 중지 |
|
8. 3 |
중립국 감시위원회, 군사정전위 판문점에 설치 |
|
8. 5 |
휴전협정에 의한 송환희망포로 교환 시작(~9. 6) |
|
8. 8 |
한미상호방위 조약 가조인(서울) |
|
8. 15 |
정부 서울 환도 |
|
9. 1 |
김일성 소련 방문(~29) |
|
9. 5 |
일선 장병에 휴가 실시 |
|
9. 10 |
유엔군 사령관 클라크 장군의 후임으로 헐 대장 임명 |
|
9. 11 |
북한 공군 노금석대위, 미그기 몰고 귀순 |
|
10. 1 |
한미상호방위조약 워싱턴에서 정식 조인 |
|
10. 26 |
휴전협정에 의한 한국문제 전치회담 예비회담 판문점에서 개최 (~1954. 2. 2) |
|
11. 10 |
김일성, 정부대표단 인솔 중국방문 |
|
11. 12 |
닉슨 미 부통령 방한 |
1954 |
|
|
|
1. 3 |
인도군, 중립성 무시하고 반공포로 강제 송환 |
|
1. 17 |
유엔군 사령부, 송환된 2만1000여명의 반공포로 12일 석방했음을 발표 |
|
1. 28 |
정부, 친공포로 347명 공산측에 인도 |
|
4. 26 |
제네바 회담 개막, 공산측 남북한 총선거안 반대, 한국문제 정치적 해결 무산 (~7. 21, 한국ㆍ인도차이나 문제로 19개국 참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