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사랑/숨겨진 보물을 찾아서 32

단종절신 휴계 전희철의 충정과 절의, 연꽃으로 피어나다

우리고장 우리마을 숨겨진 보물을 찾아서[11] [탐방일:2020.5.29] 이산면 용상골 ‘칠성루·휴계재사’ 단종이 세조에게 왕위를 빼앗기자 벼슬을 버리고 옥천으로 낙향 1457년 가솔을 이끌고 처가 곳 영주 휴천에 숨어살며 절의 지켜 휴계 후손, 용상골에 3,500평 연꽃정원 만들어 시민휴식처 제공 칠성루와 휴계재사가 보이는 용상골 전경 칠성루 휴계재사 휴계의 묘 칠성루 야경 용상골에 숨겨진 보물 ‘칠성루’ 칠성루기(七星樓記)에 「살아서는 칠성(七星)을 받들고 죽어서는 칠성산에 묻히었더니, 후손이 그 숨은덕을 나타내고 그윽한 빛을 게시해서 깊은 충정(忠情)과 숨은 절의(節義)를 북극성처럼 빛나게 함을 이 누각을 통해 볼 수 있도다」라고 썼다. 선조의 충절과 후손의 모범을 잘 나타낸 글이다. 영주 원당로..

주자의 무이구곡시에서 차운한 송인기의 성잠촌 묘사시 10수

우리고장 우리마을 숨겨진 보물을 찾아서[10] [탐방일:2020.5.15] 송인기의 성잠촌 묘사시 10수 성잠촌은 한정교 건너 하한정 남쪽 성봉 아랫마을이다 주자가 무이정사를 짓고 무이구곡의 경치를 묘사하듯 송 선비는 성잠촌 산하의 아름다운 경치를 시로 남겼다 성잠촌 10경(十景) 위치도 중국 동주에서 공자(기원전551-기원전479)가 탄생했고, 남송에서 주희(朱熹,1130-1200) 곧 주자(朱子)가 태어났다. 주나라의 공자가 태산에서 유학을 창시하듯 남송 때 주희는 무이산에서 신유학인 주자학을 성립했다. 고려 말 안향(1243-1306)이 원나라에 가서 학풍을 견학하고, 직접 주자서를 베껴와 주자학(朱子學,성리학)을 널리 퍼뜨렸다. 그 후 수많은 조선의 선비들이 주자가 머물던 무이정사에서 서원의 모범..

'성학십도 보물을 찾아서'

성학십도 (聖學十圖) 2020.8.31 옮김 성학십도 (聖學十圖) 확실하고 알찬 이(理)를 구하면 틀림없이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 없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생각하면 이해되고", "예(睿)가 성인을 이룩한다"는 것이 어찌 오늘날이라 하여 증명될 수 없겠습니까? 그러나 영묘한 마음이라 해도 만일 마음의 주재하는 능력이 없으면 일을 앞에 당하여 놓고도 생각하지 않게 되고, 이(理)의 드러남이 확실하더라도 만일 찾아서 처리하려는 생각이 없으면, 항상 눈앞에 있어도 보이지 않습니다. 이것은 또한 도해를 토대로 생각하는 것도 소홀히 하여서는 아니됨을 말하는 것입니다. 또한 듣건대, 공자는 "배우기만 하고 생각하지 않는다면 어두워지고, 생각만 하면서 배우지 않는다면 위태로워진다"고 하였습니다. 배움(學)이란 그 일들..

집에 막히고 잡목에 덮인 서구대(西龜臺) ‘무신탑터(無信塔址)

우리고장 우리마을 숨겨진 보물을 찾아서[9] 가장 오래된 고적 ‘무신탑’ 집에 막히고 잡목에 덮인 서구대(西龜臺) ‘무신탑터(無信塔址) 영주지에 ‘고적 무신탑’이 ‘서구대 위에 있었다’고 기록했다 서기 500년 소지왕 영주 행행(行幸) 벽화를 만난 사건의 무대 왕을 기다리던 벽화..

숨겨진 보물을 찾아서[8] 안향 선생이 어릴 적 공부할 때 벼루 씻던 ‘세연지(洗硯池)’

우리고장 우리마을 숨겨진 보물을 찾아서[8] 순흥면 석교2리 ‘세연지’ 안향 선생이 어릴 적 공부할 때 벼루 씻던 ‘세연지(洗硯池)’ 바위 사이에 작은 샘이 있고 그 밑에 네모진 ‘세연지’가 있었다 지금은 세연지는 없어지고 ‘세연지비’와 석간천(옹달샘)만 남아 선생의 태실이 세..

숨겨진 보물을 찾아서[7] 공민왕 몽진 길 ‘왕비골–왕머리’공민왕 몽진 길

숨겨진 보물을 찾아서[7] 공민왕 몽진 길, 전설 따라 130리… ‘왕비골–왕머리’공민왕 몽진 길 공민왕은 아버지의 태(胎)가 묻힌 순흥으로 몽진 길 떠나 부석면 어래산·왕비골·안심천, 평은면 왕머리 지명 남기고 무량수전, 흥주도호부아문, 봉서루, 기주절제아문 편액 남겨 공민왕 몽..

1000년 전 왕이 “명문으로 새기라…” 「부석사 원융국사비」[6]

우리고장 우리마을 숨겨진 보물을 찾아서[6] 2020.2.20 1000년 전 왕이 “명문으로 새기라…” 「부석사 원융국사비」 王이 “세계 징검다리요 인간계와 천상계 지도자”라 칭송 고려 문장가 고청(高聽)이 짓고 명필 임호(林顥)가 쓰다 탄생-출가-대덕-왕사-국사-부석사-입적까지 명문(銘文) ..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에 불복한 고려 충신 ‘이억(李薿 )’[5]

우리고장 우리마을 숨겨진 보물을 찾아서[5] 2020.2.6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에 불복한 고려 충신 ‘이억(李薿 )’ 구구리, 9개 식읍에서 보내온 세공이 쌓여 9더미를 이루었다하여 ‘구구리(九邱里)’불사이군 고려 충신 이억(李薿 )의 은거지, 단산면 구구리(九皐) 王이 내린 9고을 세공 물리..

장말손 종가, 국가지정 보물 5종 25점 소장한 한국의 명가 [4]

우리고장 우리마을 숨겨진 보물을 찾아서[4] 2020.1.16 장말손 종가, 국가지정 보물 5종 25점 소장한 한국의 명가 보물 제5001-1호, 고려(1305) 홍패(紅牌)보물 제501-3호 장말손 문과급제 홍패(紅牌)보물 제881호-2호, 패도(佩刀,허리에 차는 칼)보물 제604호, 장말손 적개공신상훈교서보물 제881호-1..

천상(川上) 위 천상(天上)의 절집 진월사(陳月寺) [3]

우리고장 우리마을 숨겨진 보물을 찾아서(2020.1.2) [3] 천상(川上) 위 천상(天上)의 절집 진월사(陳月寺) 평은 용혈 영주댐 앞산 구름 위로 보이는 절집 676년 의상대사 창건, 1720년 설신대사 중건 눈앞에 펼쳐진 천 겹의 봉우리들이 장관(壯觀) 영주댐에서 바라본 천상의 절집 진월사진월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