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에는 죽계구곡 외에도 소백구곡, 운포구곡, 초계구곡, 동계구곡, 초암구곡 등 구곡이 있다.
2012. 6.9(토) 14:00 선비문화 연구회 회원들이 시민회관에 모여 운포구곡을 향해 출발했다.
옛 선비들은 산좋고 물좋은 곳에 누정을 짓고 자연을 굽어보며 시를 쓰고 풍류를 즐겼다.
봉화 문수산에서 시원(始原)한 내성천은 금강(錦江)을 거치고 무섬을 지난다.
다시 학가산 북쪽 발치를 감돌아 여유롭게 회룡포로 흘러간다.
내성천에 굽어도는 경승에 선비들은 구곡을 정하여 산수를 즐기고 시를 남겼다.
문수면 무섬마을 뒷편에서 시작하여 평은면 금광1리(기프실)에 이르기까지 내성천 곳곳에구곡을 정하고 자연을 노래하고 시를 읊었다.
이 곳 운포구곡 답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운포구곡(雲浦九曲)
제1곡(一曲)은 우천(愚川)이다.
영주시 평은면 용혈2리 속칭 불갱이 마을 앞에 있다. 지금은 훼철된 우천 정칙의 소강인 우천정이 있었을 정도로
아름다운 곳이다. 무섬의 뒤편 지근에 있다.
제2곡(二曲)은 송사(松沙)이다.
영주시 평은면 용혈1리 속칭 미림(美林)마을에서 하류쪽 300m에 녹동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한다.
앞에는 달미봉과 속시들이 있다. 주변 산에는 송림이 무성하고 내에는 금모래가 무한하게 퇴적되어 있다.
제3곡(三曲은) 용추(龍湫)이다.
용추는 안동시 북후면 월전리 속칭 직곡마을에 있다. 마을에서 진월사로 가는 길 위에 있는데
일명 월전십리계곡 중간 지점에 있다. 석혈(石穴)에서 쏟아지듯 바위사이로 떨어지는 물은 마치
폭포의 형상을 하고 소(沼)가 깊다. 얼마 전 까지도 물레방아간과 양조장이 부근에 있었을 정도로
수원이 좋은 곳이다. 용추에서 흘러내린 세류는 미림 부락의 영강정(직장 권유선의 소구) 앞
내성천으로 합류된다. 영강정 앞에 굽어도는 곳을 용추의 이름을 빌려 삼곡을 용추로 하고 있다.
영강은 본래 영화가 있으면 모르지기욕됨이 있거니, 분수를 지켜 강호에 늙음만 못하랴
「從古有榮須有辱 不如守分老江湖」에서 취하였다. 부근에 미림 동굴이 있다.
제4곡(四曲)은 전담(箭潭)이다.
속칭 놋점부락 앞에 있다. 말 그대로 화살 같이 유속이 급하고 부석바위 밑에 소가 있다.
장구봉 아래 있으며 위로는 신라 고찰이자 전통 사찰인 진월사가 있다.
놋점부락에서 흐르는 유계(鑐溪)가 이곳에서 합류된다.
제5곡(五曲) 운포(雲浦)이다. 영주시 평은면 금광2리 속칭 금광부락 뒤쪽으로 뒷개들이 있다.
이 곳에서 다시 내를 건너면 운곡이 된다. 산자락에 운곡서원이 있었다. 주변이 산으로 둘러쌓여 마치
무릉도원을 연상케 하는 곳이다. 지금은 영주댐 본댐 공사로 예전 모습을 볼 수 없다.
현재는 산전벽해라 할까. 온통 파헤쳐지고 토석이 높게 쌓였다. 내성천 운포구곡의 중심이 바로
이 곳으로 이제는 아쉬움만 뒤로한다.
제6곡(六曲)은 구만(龜灣)이다.
영주시 평은면 금광2리 금강부락 앞 가랑봉 아래에 이른다. 중앙선이 개통되기 전 일제 강점기 때에는
이 곳에서 시장이 정기적으로 개장되었다. 그 만큼 부지가 넓은 곳이었다. 불로봉 아래로 흘러오는
내성천은 이곳에서 굽어 돌았고 가랑봉의 창애는 절경을 이루었다고 한다. 최근 토석 채취로
경관이 많이 훼손되었다.
제7곡(七曲은) 금탄(錦灘)이다.
영주시 평은면 금광3리 속칭 가자골(영천의 3대 명당 중 하나, 1)유룽, 2)박봉산 3)가자골) 앞으로
불로봉 아래를 이른다. 아침녘과 저녁녘의 햇살은 찬란한 여명(黎明)을 이룬다. 물여울은 비단을
드리운 듯 아름다운 광채를 발한다. 금강(錦江)마을은 여기에서 연원(淵源)한다. 고려 공민왕이
몽진한 왕류(王留)와 송리원이 지척이다. 송리원 앞 내를 상탄이라고 한다.
제8곡(八曲)은 동저(東渚)이다.
영주시 평은면 금광3리 속칭 동호(東湖) 또는 동막(東幕)이라고 하는 곳이다.
고현(古峴)에서 흘러내린 고현천이 마을 앞에서 합류한다. 내저(內渚)는 동막이고 외저(外渚)는
전동막(아랫동막)이다. 영지산과 달봉산이 우뚝하다.
제9곡(九曲은) 지포(芝浦)이다.
영주시 평은면 금광 3리 속칭 심곡(深谷) 또는 깊으실이다. 영지산에서 내려 온 용은 낱맥의
끝인 용강에서 물을 마시는 형국을 하고 문수산에서 달려 온 내성천은 이곳에서 한 숨을 돌리며
천천히 흐른다. 또 절벽 아래로는 소(沼)를 이루니 부근을 잉어바위라고 통칭하고 있다.
이곳에서부터 운곡구곡은 시작된다. 석문정(석문 장호상의 소구)이 있었다.
골이 깊어 퇴적 층이 생기고 지초가 무성하게 자란다. 뒤로는 지산이 동으로는 영지산이 우뚝하다.
1곡 위치
2곡 위치
3곡 위치
4곡 위치
5곡 위치
5곡 운포의 댐 공사 전 모습/지금은 이 모습을 볼 수 없다.
6곡 위치/현재 평은 역 부근
7곡 위치/금강마을에서 가자골 방향
비지정 문회재 답사 및 청소
알성동천
글 김태환/사진 이원식
좋은 소식 GNπ http://blog.daum.net/lwss0410/
운포구곡(雲浦九曲)
2011, 4, 23/2014.2.23
우리들에게 너무나 잘 알려진 무이구곡(武夷九曲)은 중국 복건성 무이산에 있다. 신선(神仙)인 무이군(武夷君)이 산다고 하여 무이산 이라고 했다. 이곳 무이산에 주자(朱子)는 경승이 빼어나고 강이 굽어 도는 곳을 무이구곡으로 이름을 짓고 시를 남기는 등으로 산수의 경치를 즐겼다고 한다.
이렇듯 내성천에도 구곡이 있다. 봉화 문수산(文殊山)에서 시원(始原)한 내성천의 큰 원류(源流)는 영주 봉황산에서 시원한 낙화암천을 더하여 석포(石浦)의 너른 들을 적신 후 금강(錦江)을 거치고 무섬(水島)을 지나게 된다. 무섬을 한 바퀴 돌고 다시 학가산 북쪽 발치를 여유롭게 하여 예천군으로 구비 구비 흘러간다. 이러한 내성천에 굽어 돌고 경승이 좋은 곳을 선현들은 구곡을 정하여 시를 남기고 산수를 즐겼다.
평은면 관내를 관류하는 내성천의 경승지에 와은(臥隱)선조는 회포(懷抱)로 주자의 운곡잡영(雲谷雜詠)과 무이도가(武夷櫂歌)에 화운(和韻)하여 구곡을 정하고 운포구곡(雲浦九曲)이라 통칭하였다. 운포구곡의 산수(山水)는 대체적인 공통점이 있었다. 굽어 돌고(曲), 명사(明沙)로, 천석(泉石)으로, 송(松)으로, 창애(蒼崖)로 산수의 경승을 이룬다.
一曲은 우천(愚川)이다. 영주시 평은면 용혈2리 속칭 불갱이 마을 앞에 있다. 지금은 훼철된 우천(愚川)정식(鄭侙)의 소구(所構)인 우천정(愚川亭)이 있었던 아름다운 곳이다. 풍월(風月)과 천(一溪) 그리고 정(亭)이 서로 비교가 될 정도였다고 한다. 무섬(剡溪)의 뒤편 지근거리에 있다.
二曲은 송사(松沙)이다. 영주시 평은면 용혈1리 속칭 미림(美林)부락에서 하류 쪽 300m에 녹동(鹿洞)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한다. 북쪽으로 달미봉(達嵋峰)과 아래로 너른 속시들이 있다. 주변 산에는 송림이 무성하고 물가에는 금모래(明沙)가 무한하게 퇴적되어 있다.
三曲은 용추(龍湫)이다. 실제 용추는 안동시 북후면 월전리 속칭 직곡부락에 있다. 부락에서 진월사(陳月寺)로 가는 길 위쪽에 있는데 일명 월전십리계곡(月田十里溪谷)의 중간 지점에 있다. 석혈(石穴)에서 쏟아지듯 바위사이로 떨어지는 물은 마치 폭포의 형상을 하고 소(沼)가 깊다. 얼마 전까지도 물레방앗간과 양조장이 부근에 있었을 정도로 수원이 좋은 곳이다. 용추에서 흘러내린 세류(細流)는 미림(美林)부락의 영강정(影江亭)(直長 權有善의 所構) 앞 내성천에 합류된다. 영강정 앞에 굽이도는 곳을 용추의 이름을 빌려 삼곡(三曲)으로 하고 있다. 영강은“본래 영화가 있으면 모름지기 욕됨이 있거니, 분수를 지켜 강호에 늙음만 못하랴”(從古有榮須有辱 不如守分老江湖)에서 취하였다. 부근에 미림동굴이 있다.
四曲은 전담(箭潭)이다. 영주시 평은면 용혈1리 속칭 놋점부락 앞에 있다. 말 그대로 화살같이 유속(流速)이 급하고 부석바위 밑에는 소(沼)가 있다. 장구봉 아래에 있으며 위로는 신라 고찰이자 전통사찰인 진월사(陳月寺)가 있다. 놋점부락에서 흐르는 유계(鑐溪)가 이곳에서 합류된다. 놋점은 유기(鍮器)를 만든 곳이었다.
五曲은 운포(雲浦)이다. 영주시 평은면 금광2리 속칭 금강(錦江)부락에서 뒤쪽으로 뒷개들이 있다. 이곳에서 다시 내(川)를 건너면 운곡이 된다. 옛 명칭은 북포(北浦)였으나 합칭(合稱)하여 운포라고 한다. 산자락에 운곡서원이 있었다. 주변은 산으로 둘러쳐져 마치 무릉도원을 연상케 하는 곳이다. 인동 장씨의 정신문화 터전이 되었다. 지금은 영주 다목적댐 본 댐 공사로 예전 모습을 볼 수가 없다. 상전벽해라고 할까. 온통 파헤쳐지고 토석이 높게 쌓여있다. 내성천 운포구곡의 중심이 바로 이곳이다. 승경(勝景)이 사라져가는 아쉬움이 있다.
六曲은 구만(龜灣)이다. 영주시 평은면 금광2리 속칭 금강 부락 앞 가랑봉 아래를 이른다. 중앙선이 개통(1941년)되기 전 일제 강점기 때는 이곳에서 시장이 정기적으로 개장(開場)되었다는 구전(口傳)이 있다. 그만큼 부지가 넓은 곳이었다. 불로봉(不老峰) 아래로 흘러오는 내성천은 이곳에서 굽어 돌았고 가랑봉의 창애는 절경을 이루었다. 철도의 개설과 최근 토석채취로 경관이 많이 훼손되었다. 본래의 모습을 보기는 어렵지만 상상(想像)으로 형상을 생각하여 볼 수 있다.
七曲은 금탄(錦灘)이다. 영주시 평은면 금광3리 속칭 가자곡(영천의 3대 명당 중 하나 ①유릉,②박봉산,③가자곡)에서 불로봉 아래를 이른다. 이곳에서 내성천은 깊숙이 휘감아 돌아 수태극(水太極) 산태극(山太極)의 형상을 한다. 아침과 저녁녘의 햇살은 찬란한 여명(黎明)을 보여준다. 물여울은 비단을 드리우듯 아름다운 광채를 발한다. 이를 두고 가히 금수강산(錦繡江山)이라고 하였다. 금강(錦江)의 지명(地名)은 여기에서 연원(淵源)한다. 금강의 구명(舊名)은 상탄이었고, 송리원 앞 내(川)는 상탄(上灘)이라고도 한다. 고려 공민왕이 몽진한 왕류(王留)와 송리원(松里院)이 지척에 있다.
八曲은 동저(東渚)이다. 영주시 평은면 금광3리 속칭 동호(東湖) 또는 동막(東幕)으로 이곳을 이른다. 고현(古峴)에서 흘러내린 고현천의 세류는 마을 앞에서 합류한다. 내저(內渚)는 동막이고 외저(外渚)는 전동막(거랫동막)이다. 동으로는 영지산이 마을 앞으로 달봉산이 우뚝하다.
九曲은 지포(芝浦)이다. 영주시 평은면 금광1리 구칭(舊稱) 심곡(深谷) 또는 깊으실이다. 영지산(靈芝山)에서 내려온 용은 낱 맥의 끝인 용강에서 물을 마시는 형국을 하고. 문수산에서 달려온 내성천은 이곳에서 한 숨 돌리려 흐름을 느리게 한다. 동저산(東渚山) 아래에 큰 소(沼)를 이루고, 절벽 아래는 잉어(鯉魚)바위라고 통칭 한다. 이곳에서 부터 운포구곡은 시작된다. 석문정(石門 張后相의 所構)이 있었다. 골이 깊어 퇴적층이 생기고 지초(芝草)가 무성하게 자랐다. 뒤로는 지산(芝山)이, 동으로는 영지산이 우뚝하다.
이와 같이 운포구곡 외에도 학가산 주변 내성천에는 별도의 7곡이 또 있다. 이름하여 섬계7곡(剡溪七曲)이다. 시작은 무섬(剡溪, 茂島, 水島, 水村)에서 학사정(문수면 조제2리)까지의 사이로 한다. 1곡은 무도(茂島), 2곡은 어호(漁戶), 3곡은 송평(松坪), 4곡은 화둔(花屯), 5곡은 주산(酒山), 6곡은 등산(登山), 7곡은 미담(薇潭)으로 하고 있다. 또 학사(鶴沙) 김응조(金應祖)는 학사정(鶴沙亭)을 중심으로 내성천의 명소 중 세 곳에 풍영대(風咏臺). 세심담(洗心潭), 학사대(鶴沙臺)라 정하고 불렀다. 또 수촌 김승학은 섬계십경(剡溪十景)으로 섬계 주변의 아름다움을 시영(詩詠)하였다.
이 외에도 우리 시 관내에는 죽계구곡과 초암구곡 그리고 동계구곡(정산 김동진 경영. 정산집)이 있다.
내성천과 서천은 섬계마을 뒷편에서 합수(合水)된다. 한편 내성천의 이명(異名)에는 영천(榮川)의 동쪽에 있다하여 동천(東川)이라 하였다. 서천은 영주 시내를 관류하여 구성산성(龜城山城) 앞을 흐른다하여 구천(龜川)이라고 했다.
자고로 내성천은 영천 고을 남부의 생명줄이다. 문수산에서 문경 영순까지 270여리 길을 흐른다. 흐르는 물은 곁가지 지천(支川)을 한 몸에 뭉쳐서 낙동강으로 흘러들게 한다. 바둑판같은 들이 아득하게 열렸고, 넓은 들 품안에는 옹기종기 마을이 안겨있다.
평은에서 문수까지 내성천은 오래도록 비경을 숨겨 왔다. 그런데 어느 날 속살을 드러낸 내성천은 수줍은 듯 살포시 모습을 드러내었다. 이를 본 뭇 사람들은 감탄을 하고 또 감탄을 했다. 왜 이런 비경을…. 이제야 하면서… 얼마나 아름다웠으면 錦江이라고 까지 했을까. 소박하면서도 꾸밈없는 내성천은 지금껏 길이길이 흘러왔고, 인간도 길이길이 살아왔었다. 그런데 이제는 정말 떠나려고 한다. 영원히…
2014.2.23 pyeongeun에서 퍼왔습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영주사랑 이야기 > 문화유산보존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2년 8월 답사/봉화 금정 (0) | 2012.08.14 |
---|---|
삼판서고택, 대문 활짝 열리다. (0) | 2012.06.15 |
[스크랩] 남방한계선에서 불과 50m 떨어진 곳에 있는 경순왕릉 (0) | 2012.06.01 |
숭은전, 경순왕 어진봉안 & 춘향대제 (0) | 2012.05.24 |
2012년 4월 답사/선비문화연구회 (0) | 2012.04.21 |